먼저 그림의출처는 다음에서 등각투상도의 이미지 카테고리에서 무작위로 퍼온것이고, 도형의 한눈금을 10으로 잡았습니다.
그림의 교차점이 불분명하여, 임의의 치수로 그렸음을 밝혀둡니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배치와, 모양의 이해(투상)이기 때문에 치수는 크게 중요치 않습니다. 재료의 원래 크기를 70 X 40 X 50(가로X세로X높이)로 정하였습니다. 기본투상도법에 관해선 오늘시간까지만 다룰것입니다.
다 읽어보시고 이해가 안가시는분 께서는 문방구에서 지우개(네모난 지우개)를 사오셔서, 칼로 직접 자르면서, 비교하여 보시면,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분명이부분이 설계에서 중요한비중을 차지합니다.
이 부분이 제도의 기초이니까요.
1)
2)
3)
4)
5)
이번 사진은 중요한 의미를 포함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바라보는 방향대로 도면을 배치해보면,
와 같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도면을 배치할때, 정면도에는 가장 알아보기 쉬운 면을 정면도로 잡는다는 도면그리기의 일종의 규칙이 있습니다.
위와같은 정면도라면, 정면도 하나로 유추할수 있는 사실은
ㄷ자 형태의 가공물의 일부에 원 또는 따임(가공제거)부분이 있다정도, 정면도 하나로 우측면도 또는 평면도를 유추하기가 거의 불가능 합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보고자하는 물건을 회전시켜, 알아보기 쉬운 면을 정면도로 보고 삼각법으로 배열해보면,
와 같이 표현됩니다.
자어떤가요. 정면에서 보이는 모양으로 유추, 저것은 저렇게 다각형의모양에 가운데 원으로 뚫린 철판 또는 그뒤에 무언가 더 있겠구나.. 라는 좀더 디테일한 정의를 내릴수 있는것입니다.
만약 저런식으로 도면이 수백장 있다면,어떻겠습니까. 분명 아래와 같은 도면을 보는데 시간이 덜걸리겠죠.
그리고, 참고로 위 그림의 갈색으로 그린 2점쇄선은 만약 도면을 삼각법으로그린후, 그도면이 잘 그려진 도면인지를 알아볼때, 저렇게 가상의 선을 그어 접어보세요. 접는 방향은 바라보는 방향의 아래쪽으로. 그런후 물건과 비교해서 보면, 맞는 도면인지 확인할수 있습니다.
처음접해서 많이범하는 실수 중의 하나가, 우측면도 자리에 좌측면도를 그린다던지.평면도 자리에 저면도를 그린다던지 하는 실수를 합니다.
'생활 > cad·cadi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툴의 소개 (0) | 2012.10.16 |
---|---|
선그리기 부터 응용까지 기초다지기 (0) | 2012.10.14 |
도면보는법 3 (0) | 2012.10.12 |
간단한 도면보는 법 2 (0) | 2012.10.11 |
앞으로 가끔 그려넣을 캐드파일에 관하여, 약간의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0) | 201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