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보는 법에 대하여 간단히 올려봤습니다.
의외로 많은 분들이 도면보는법에 관심이 있는듯 하여, 앞으로 좀더 상세히 기본 그리는 기능 까지 짬짬히 올려보겠습니다.
앞서 2가지의 파일을 완전히 이해하신분들은 어느정도 기초는 다져지신분들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러지 못한 분들을 위해 이번에는 도면을 해독하는데 투상못지 않게 중요한 선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학습서적에서 선의 종류와 용도에 관한 부분을 발췌하여 보겠습니다.
이부분에대해충분히 숙지하셔야, 그려진 도면을 해독할때, 또는 내가 그린그림을 다른사람이 해독할때, 문제가 없을것입니다.
잠시, 도면의 기본적인 정의를 본다면, 설계자가 제작자(소비자)의 용도나 취향에 맞게 약속되어진 기호, 선, 문자등을 이용하여, 종이에 그려넣은것. 이 빨간 줄쳐진 부분이 선의 종류(즉, 규칙)의 필요성입니다.
선의 종류
명칭 |
종류 |
선의 용도 |
외형선 |
굵은 실선 |
대상물이 보이는 외부 모양을 표시하는 선 |
단면선 |
굵은 실선 |
가장 두꺼우며, 물체의 단면을 표시하는 선 |
치수선 |
가는 실선 |
치수를 기입하기 위한 선 |
치수보조선 |
가는 실선 |
치수를 기입하기 위해 끌어내는 선 |
지시선 |
가는 실선 |
기호, 기술 등을 기입하기 위해 끌어내는 선 |
숨은선 |
굵은 선의 1/2 파선 |
물체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기 위한 선 |
중심선 |
가는 1점 쇄선 |
대상물의 중심을 표시하는 선 |
기준선 |
가는 1점 쇄선 |
위치 결정에 근거가 되는 부분을 표시하는 선 |
가상선 |
가는 2점 쇄선 |
물체의 이동이나 가공 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 |
무게중심선 |
가는 2점 쇄선 |
단면의 무게 중심을 연결한 선을 표시하는 선 |
해칭선 |
평행 사선의 가는 실선 |
단면도의 절단된 부분을 나타내는 선 |
파단선 |
파형, 지그재그의 가는 실선 |
물체 일부를 파단하거나 떼어낸 경계를 표시하는 선 |
절단선 |
가는 1점 쇄선, 변하는 부분 |
굵게 단면도에서 절단 위치를 표시하는 선 |
용도에 따라 적용되는 선
NO |
용도에 따른 명칭 |
선의 종류 |
굵기 (단위:mm) |
1 |
외형선 |
실선 |
0.8~0.4 |
2 |
은선 |
파선 |
중간굵기 |
3 |
중심선 |
일점쇄선(실선) |
0.3이하 |
4 |
1. 치수선2. 치수선 |
실선 |
0.3이하 |
5 |
지시선 |
실선 |
0.3이하 |
6 |
가상선 |
일점쇄선 |
0.3이하 |
7 |
파단선 |
자유실선 |
0.3이하 |
8 |
절단선 |
일점쇄선 |
0.8~0.4 |
9 |
특수가공선 |
일점쇄선 |
0.3이하 |
10 |
해칭 |
실선 |
0.3이하 |
11 |
1. 평면선2. 작도선 |
실선 |
0.3이하 |
여기서 기본적인 사용예 4가지를 보겠습니다.
어제 알려드린 주사위의 투상개념을 확실히 이해하셧다면, 이 도면도 이해하기 쉬우실것입니다.
이 그림처럼 원뿔의 튀어나온 원기둥의 정면을 정면도로 보면,
이와 같은 도면배치가 될것입니다.( 평면도와, 우측면도의 원뿔과 원기둥의 교차되는(만나는) 부분은 원래 다르게 표현되나, 대충 표현하였습니다.)
이 도면에서 전체적인 윤곽을 알려주는 일반적인 선을 실선이라고 합니다.(또는 외형선)
도면에서 1번과 같은 파란색 점선부위 즉 맨위 그림의 위에서 본그림에서 원기둥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원뿔의 하단 일부분이 가려져 있는 숨은선이라는 규칙을 알려줍니다. 표에서와같이 점선(- - - - -)으로 표현되었죠.
그리고 2번과 같이 붉은 점선부위 원뿔의 가운데를 관통하는 원의 중심임을 표시하는 중심선이고, 2-1번의 가로로 그려진 선또한 원기둥의 중심을 표시하는 부위입니다. 표에서와 같이 1점쇄선(ㅡ - ㅡ - ㅡ)과 같이 하나 건너 길고 짧은 선의 반복형태의 선으로 정의 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위그림의 우측면도의 원뿔 꼭데기 부분의 녹색선이 보이시죠. 이선은 현재는 존재하고 있으나, 추후에 원기둥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위부분을 가공하여 없애겠다는 가상의 가공선을 표시한것입니다.
표현은 이점쇄선 ( ㅡ -- ㅡ -- ㅡ )와 같이 표현됩니다.
이외에도 표현되는 위치에 따 굵기를 달리한 실선, 점선, 이점쇠선등 표현방법에 따라 위와 같이 많은 분류로 나누어 집니다.
일단 현재는 이 4가지의 선의 개념만 알아두셔도 됩니다.
앞으로 인터넷의 예제 또는 직접그린 파일로 좀더 복잡한 도면을 표현할텐데요.
여기 까지 정의된 3가지 기본도면보는법을 충분히 숙지하셔야, 사각형을 그리기 시작해서, 조립도 뽑기까지 진짜로 빠른 습득이 가능할 것 입니다.
'생활 > cad·cadi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툴의 소개 (0) | 2012.10.16 |
---|---|
선그리기 부터 응용까지 기초다지기 (0) | 2012.10.14 |
도면보는법4 (0) | 2012.10.13 |
간단한 도면보는 법 2 (0) | 2012.10.11 |
앞으로 가끔 그려넣을 캐드파일에 관하여, 약간의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0) | 201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