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 인터넷/정보

경제학자들이 내다본 2011년 이후의 유망 아이템 25가지.

좋은놈ㅇㅋ 2012. 10. 3. 15:55
반응형

25. 신개념의 지능형 청소기.(적외선 및 인공위성-네비게이션 등을 이용한..)

 

---- 놀랍게도 우리나라에선 삼성과 LG의 현재 경쟁 물품중 하나이죠. 지능형 청소기에 대한 우리나라의 상황은 맞는것 같군요.

 

24. DuraVision 모니터라고 안경없이 3D시청이 가능한 모니터라는 군요.   지길.. 일본이 먼저 내놓았네요.

근데..  영화속에 등장하는 홀로그램도 이제품등장으로 좀더 가까워 지지 않았나 생각이 드네요.

 

23. 신개념 주방 - 인터넷 보급율은 점점더 높아지고, 인터넷상의 지식은 넘쳐납니다. 이에 신개념 주방으로 넷상에서 쇼핑을하고, 넷상의 지식 래서피를 참고하여, 식품을 조리, 보관, 온도조절, 보관 및 관리등(현재 포괄적인 유비쿼터스의개념으로 이미 기초는 닦여있는상태 - 예로본다면, 전화로 컨트롤하는 실내보일러온도, 전화로 작동하는 세탁기, cctv등도 넓게보면 이계념에 속한다.)을 터치스크린개념으로 조작하는 생활,가전 전반의 네트워크 장비를 말한다.

 

22. 소배설물을 이용한 메탄자원생성기 - 메탄은 하나 고약한 온실 가스입니다. 이산화탄소보다 대기에 더 강력한 20 배 이상입니다.

전기 발효 소 배설물에서 메탄 가스로 변환하는 새로운 발전기 전기를 생성하여 대기 손상을 완화하는 방법이 유망하다고 합니다.

이는 소는 미래에도 인간에겐 없어선 안될 귀중한 자원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지요.

 

21.위치기반 애플리 케이션 - 아직까진 원시적인 위치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진화. 좀더 빠르고 정확한 위치정보는 모든이의 안전과 정보습득에 편리함을 줄수 있다고 하네요. 응용범위가 많아서, 또 아직 까진 그다지 연구가 활발하진 않나보네요. 그만큼 기회가 많다는 뜻이겠죠.

 

20. 가정용 전기 발생 - 이는 우리나라에도 많이 있어야 하는 부분인것 같습니다. 유럽의 어느 나라는 집에 발전기를 설치하여, 쓰고 남는 전기를 국가에 되팔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처럼 전기 사용량은 많고 전기생산에 많은 자원이 들어가는

실정이라면 이미 허가가 되었어야하는 분야인듯합니다. 집앞 도랑에 물레방아를 설치하여, 전기를 사용하여 쓴다면, 국가적 전력낭비를 줄이고, 개인에겐 새로운 소득원 창출이 될수 있으며, 국가적으론 관심 인력이 많을수록 발전하는 범례를 든다면, 우수 지식인제를 보유(특허)등의 효과도 있을수 있을텐데 말이다.

현재 일부지역의 농부들은 농사짓던땅에 태양열 전지판을 세워 일정 계약지역에 공급하는 사례도 있다고 합니다.

 

19. 삼성전자의 얇은 LED Tv를 꼽았군요.

셋트 물품인 3D안경으로 2D화면을 3D로 볼수있는 장점이 잇다고 하네요.

 

18. 항공분야에서의 바이오 연료 - 이미 2011년 독일에서 실험된 항공분야의 바이오 항공유 낮은 비율의 바이오 혼합유로 최대 80%까지 온실가스를 줄일수 있다고 합니다.  브라질은 이미 바이오 연료가 많이 상용화 되어있다고 합니다.

 

17. 스마트 책상(benddesk) - Multi-touch on a curved display

2개의 빔프로젝터와 3개의 카메라 그리고,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일종의 모니터 책상이라고 보면 되겠다. 책상표면과 모니터가 연결된 작업 공간으로, 사진 및 편집등에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수 잇다고 한다. 손으로 모든 작업과 명령을 내릴수 있는 곡선화된 모니터.

참고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5VNTPwVvLzE

 

16. 3D HD캠코더 - 음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우리가 보는 눈과 같이 2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보는 관점과,원근감등의 자연시각적 차이를 모방한 카메라로 3D로 자신의 삶을 기록할수 있게됩니다.

 

15. 기술언어라서 너무 어려워 그냥 따왔습니다.  ^^;

이산화탄소의 전기 감소(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arbon dioxide = ERC)

ERC는 이산화탄소를 차세대 연료전지를 위한 연료를 포함한 광역의 상업적 적용이 가능한 물리로 전환함으로써 지국환경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영향을 줄이는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ERC공정은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물을 이용하여 과거 화석연료의 열화학적(thermochemical) 공정을 통해 생산되던 포름산(개미산)과 개미산 염(formate salt)와 같은 고부가 물질로 전환한다.

 

14. 20세기의 사람들의 꿈이었죠.. 날으는 자동차

설명이 필요 없죠..  관련영상 하나 걸어둘게요.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aeQL-dUjlOg

 

13. KOR - FX ? 기존 3D의 개념에 촉각적인 부분을 더하는 것으로

시각과 청각을 담당하는 3D안경과 3D싸운드에 음향장치에서 파생된 장치를 가슴에 부착하여, 기존엔 느낄수없던, 충격과 촉감등을 느낄수 있게 하여 좀더 현실에 가까운 체험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12 업무용 소형 휴대폰 타워 - 현재 회사내에서 유선으로 이루어 지던 일련의 통신을 대체할 소형 무선 통신기 정도로 생각하면 될듯하다. 건물의 입출입 및 통신 등을 유선에서 무선으로 대체하는 기술.

 

11. 휴대폰 열쇄 -  쉽게 말해 많이들 알고있는 휴대폰의 유심칩과 같이 특정 정보를 기록가능한 장치를 휴대폰에 장치하여, 결제및 열쇄의 기능을 대체할수 있는 전자키로 사용가능한 기술.

현재 휴대폰의 기능을 본다면, 가능성 있는 직업으로 보인다.

 

10.Nanomotor 어려운 단어라서.. 대충설명하자면, 분자상태의 배열이나 화학적 작용을 통해, 전기를 발생하거나, 속도및 연속성을 제어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일련의 과정(맞는 표현인지 모름..)

아직까진 공상과학소설에서만 있는 얘기 같네요.

 

9. 모양 변형터치스크린 (Shape-Shifting Touchscreen)2중터치? 터치스크린으로 모양과, 질감을 등을 느낄수 있는것으로. 머지 않아 볼수 있을지도 모른다는것 같군요.

 

8. Power 플라스틱 - 태양전지의 구성품의 하나로, 양전지 패널의 재료이며, 기존의 대형화된 부피를 현격히 줄여, 여행시에도, 휴대하여, 필요한 모든 전력을 대체할 만큼의 성능을 발휘할수 있게한다네요.

 

7. 양자Dot LED 디스플레이 - 기존 LCD 디스플레이는 출력의 90%이상을 필터링한다고 합니다. 이런 비효율성을 대폭 줄이고, 좀더 소형화를 가능하게 해준다고 합니다.

 

6. 휴대폰 연료전지 - 휴대용 휴대폰 충전장치로, 여러차례 충전가능한 장치 (butane cartridges 란 energy cell로 시판되고 있군요..)

 

5. GM모기를 이용한 뎅기 바이러스 퇴치

 

4. 닌텐도 DS에 관한건데 내용은 3D관련

 

3. 의학분야의 로봇활용에 관한것이 나왔네요.(걸음 보조기구 즉, 로봇 다리)

 

2. Graphene 현재의 실리콘밸리를 일컫는 실리콘을 대체할 물질로,다음세대엔 Graphene밸리가 생길수도 있다고 하네요.

 

1. 하이브리드카 - 이미 알려진바처럼 경쟁이 시작되었죠?

 

이상입니다. 위처럼 공상과학 영화의 하나하나의 재료가 현실이 되어가는군요.

 

대중앞에서 성공한 스타도 좋습니다. 하지만 과학자 또한 필요하지요. 인간의 마음이란부분때문에 사람끼리 경쟁 안할수 없습니다.

더 크게, 국가또한 경쟁을 않할수 없지요. 과학을 발전시켜, 강대국이 되야하는 현재 우리나라에선 연예인이나, 스타보다는 위대한 과학자가 더 필요한 것입니다.

 

자식들이 있다면, 그들에게 좀더 애국적인 꿈을 한번쯤 이야기 해보는건 어떨지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