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 인터넷/정보
오늘 재밌는 기사가 났군요.
좋은놈ㅇㅋ
2012. 12. 13. 09:55
반응형
기사내용은 캐나다의 한 군수 업체에서 투명 망토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영화 할로우에선 몸자체를 약물로 변화시키지만, 캐나다에서 개발한 이 망토는 섬유조직으로 제작되었다고 합니다.
이제 만화나 영화에서만 보던일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궁금해서 투명망토의 원리를 찾아보았는데, 몇가지 방법이 있는것 같은데, 넓게 간단히 정리해보면,
빛의 굴절외곡 원리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싸이트를 찾아보니 몇가지 자료가 있어 첨부해 봅니다.
다른 한가지 방법으로 이방법이 뉴스에 소개된 빛의 굴절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이것은 관련 동영상
소리와 같은것은 우격다짐으로 표현하여, 휘어져서 갈수 있기에 벽넘어에서도 들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이 보는 시각은 직선으로만 작용하죠. 만약 시각이란거도 소리와 같이 휘어져서 처리할수가 있다면, 즉 아래그림과 같이....
휘어진다면, 투명망토가 그리 놀랍진 않을텐데요.
위그림도 투명망토 원리설명에 들어가는것 같은데, 중력외곡(아인슈타인의 시공간의 외곡)선과도 비슷해보이는군요.
아인슈타인은 저 그림과 비슷한 이유로 타임머신과 에너지던가? 암튼 상대성원리인가를 설명했다고 합니다.
투명망토가 발전하면, 어쩌면 우주의 신비를 파헤칠지도!..
어디까지나 모자란노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ㅎ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