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cad·cadian

be(block edit)

좋은놈ㅇㅋ 2014. 4. 28. 20:48
반응형

이 명령어는 잡혀있는 블럭을 수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예전엔 이명령어를 눌러줘야했지만 현재는 더블클릭만으로도 이기능이 가능해 진걸로 알고 있습니다.

 

자 그럼 연관적으로 블럭잡기의 3가지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첫번째로 block(단축키 b)

이것의 정확한 정의는 모르나 대충표현하자면, 현재의 파일내에서 사용할수 있는 하나의 객체 블럭

정도로 설명이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현재의 파일내에서는 이름을 가진 블럭이지만, 뒤에나오는 wblock(외부 참조가능 블럭)의 기능은 갖추지 않은 블럭 정도로 정의 해 보겠습니다.

 

2번째 방법은 외부 참조가 가능한 하나의 독립된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블럭을 만드는 방법

 

방법은 wblock(단축키 w)입력후 객체선택, 그리고 이름과, 저장될 파일 형태를 지정

 

 

 

마지막으로 자동 블럭생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자면,..

윈도우에서 흔히 사용하는 ctrl+c 또는 ctrl+v등의 명령어와 비슷한 개념으로 보시면 될거 같고요.

방법은 약간 틀리게 shift가 들어갑니다.

즉, ctrl+shift+c 후 기준점을 잡아 주시고, -----블럭생성

     ctrl +shift+v 후 위치를 지정 --------------블럭 붙여넣기

 

 

 

블럭은 말그대로 사용상의 편의에 의해 사용되는 명령어이지만, 블럭이 많으면 용량이 늘어나며, 같은 블럭이 있을겨우 충돌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본인은 주로 자동생성 블럭을 많이 사용하는데 , 다른 도면에서 블럭을 끌어올때, 임의로 지정된 블럭에 의해, 블럭이 바뀌는 등의 경험을 해보았습니다.

많약 불러들인 블럭의 형태가 원하는 형태가 아닌경우, 블럭의 이름을 바꾸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블럭을 불러들일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insert(단축키 i) 로 그냥 i 누른후 불러들일 블럭이름을 선택하여 주시면 됩니다.

또한 블럭을 만들다보면, 여러가지 특이한 경우가 생기는데, 이는 직접 사용하면서 알아가실수 있을것입니다.

반응형